네트워크 핵심 개념
가장 기초적인 것만 요약하였음.
네트워크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는 연결된 장치의 시스템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ex) 컴퓨터 자동차 커피 자판기 운영체제 프로세스 등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ex) RS-223c, USB
USB (Universal Serial Bus)란, 디지털 통신 및 전원 공급 목적으로 기기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과 커넥터의 표준 규격 중 하나. 우리가 아는 USB는 USB memory
전송매체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유/무선
프로토콜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특정 규칙
물리적 프로토콜
전송 매체, 접속용 커넥터 및 전송 신호에 관한 규약
RS-223C, V.21
논리적 프로토콜
데이터 프레임의 형식, 프레임 내의 각 항목의 의미와 기능, 데이터 전송 절차 등에 관한 규약. 약속임.
IBM의 SNA, SDLC, TCP/IP
data만 딱 안 보냄. 앞에 헤더를 붙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인터넷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네트워크 관련 표준화 기관
-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모델과 OSI 프로토콜 관련
-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 내 표준 제정 기관 (예) FDDI(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 ASCII code
- EIA(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 : 미국 전자 제품간의 전기적인 전송 표준 제정 (예) RS-232
-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전기/전자/컴퓨터 분야 국제 기구 및 학회. LAN의 접속 규격과 처리에 관한 표준 제정
-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국제전기통신연합으로 정보통신과 관련된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UN 산하 기구. 전기통신 분야 표준 제정
- IAB(Internet Activities Board) :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표준 제정 (예) TCP/IP, SNMP
-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 국내 정보통신 관련 표준화 업무 추진
네트워크 표준 모델/프로토콜
OSI는 Open System Interconnection 의 약자로, 국제 표준 기구인 ISO에서 만든 계층을 의미한다.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참조 모델
- 컴퓨터를 연결하는 공통된 방법을 공식적으로 정의한 최초의 모델. 7계층으로 나누어 정의.
- 서로 다른 컴퓨터 기기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규정한 네트워크 모델 표준안.
- 모든 통신 관련 시스템, 즉 각종 네트워크 장비 및 컴퓨터 기기 등에 동일하게 적용.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반으로 사용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프로토콜
- 인터넷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 4 계층으로 구성
OSI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킹의 범용 언어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통신 시스템을 7개의 추상적 계층으로 나누며 각 계층은 다음 계층 위에 스택됩니다.
사용 목적
- 사용자가 장비를 쉽게 사용 가능
- 모듈화를 통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움
- 이기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간 통신 지원
- 효율적인 장비 개발
- 장비 개발을 위한 표준 제공
OSI 계층 모델
- 물리 계층: 물리적 연결로 데이터 전송, 전기 신호
- 데이터 링크 계층: 직접 연결된 노드 간 데이터 전송 및 물리적 전송 오류 해결. MAC 주소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 기반의 라우팅. 전송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 전달
- 전송 계층: TCP, UDP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 기능 지원. 오류제어/흐름제어
- 세션 계층: 통신 세션 관리. 대화 개념을 지원하는 상위의 논리적 연결 지원.
- 표현 계층: 데이터의 표현 방법.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암호화
- 응용 계층: 다양한 응용 환경 지원.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HTTP, FTP 등)
data에 뭔가 처리를 하면 반드시 헤더가 추가된다. 그래야 수신자가 뭔일을 했는지 알 수 있으니까.
중간노드: 라우터
라우터는 3계층까지만 지원하면 된다.
TCP/IP
- 1960년대 말 미국방성(DARPA)의 연구에서 시작
-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 공개
- 인터넷에서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이용
- TCP/IP 모델
-Application 계층
-Transport 계층
-Internet 계층
-Network Access 계층
18:39
(1)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