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

총, 균, 쇠

by 저긍 2024. 11. 16.
반응형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은 많은 이들이 읽고 싶어하지만 그 분량과 깊이 때문에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작품이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내용들을 일곱 가지 주제로 나누어 설명하려고 한다.

 

 

 


1 유라시아 국가들이 더 발전했을까

저자는 뉴기니에서 현지인 얄리와의 대화를 통해 이 질문을 받았다. "왜 백인들은 이렇게 많은 물건들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 뉴기니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가?" 이 질문은 인류 문명의 불평등한 발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책에서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지리적, 환경적 요인을 강조한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각 대륙의 지리적 조건과 기후가 문명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유라시아 대륙은 동서로 넓게 펼쳐져 있어 비슷한 기후대를 공유하며, 이는 작물과 가축의 전파에 유리했다. 반면,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기후대가 다양하고, 이는 기술과 농업의 확산을 어렵게 만들었다.


2 인종주의와 게으른 천성

일부 사람들은 백인들이 흑인들보다 지능이 높거나, 열대 지방 사람들은 게으르다는 식으로 문명의 발전을 설명하려 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위험하고 비과학적인 견해이다.

책에서는 이러한 인종주의적 설명을 반박한다. 예를 들어, 북유럽 국가들은 최근 천 년 동안 발전했지만 그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기후가 추운 지역이든 더운 지역이든 문명의 발전은 지리적 조건과 환경에 크게 좌우되었다. 결국 인류의 발전은 인종적인 우열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자원 접근성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것이다.


3 명은 필요의 어머니

일반적으로 우리는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하지만, 다이아몬드는 그 반대를 주장한다. 즉, 발명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후에 사회가 그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에디슨은 축음기를 발명했지만 그 용도가 음악 재생에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휘발유도 처음에는 쓸모없는 부산물로 여겨졌지만 내연기관의 발달로 중요한 연료가 되었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의 쿼티자판은 타자기의 기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 배열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발명 자체보다 사회적 수용과 활용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필요에 의해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한 발명과 그에 대한 사회의 반응에 의해 이루어진다.


4 술 확산의 장애물

유라시아 대륙은 동서로 길게 뻗어 있어 비슷한 기후와 지형을 공유하며 기술과 작물의 전파가 용이했다. 그러나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다양한 기후대와 지리적 장벽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수레의 발명은 유라시아에서는 빠르게 전파되었지만 아메리카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마야 문명은 바퀴를 알았지만 가축화된 동물이 없었고, 안데스 지역의 잉카 문명은 라마를 가축화했지만 바퀴를 사용하지 않았다.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지형과 다양한 기후대는 이러한 기술의 확산을 방해했다.

 


5 축화와 작물화

문명의 발전에 있어 농업의 시작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유라시아는 가축화와 작물화에 적합한 동식물이 많았고 이를 통해 농업 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밀, 보리, 쌀 등의 주요 작물과 소, 돼지, 양, 염소 등의 가축은 모두 유라시아에서 시작됐다다. 반면, 아프리카나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이러한 가축과 작물이 부족했다. 이는 단순히 인류의 지능이나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 지리적 우연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농업의 발달로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이는 도시의 형성과 문명의 발달로 이어졌다. 반면 가축화와 작물화가 어려웠던 지역에서는 수렵채집 생활이 계속되어 문명의 발전이 더뎠다.


6 명적인 세균

유라시아인들은 가축화와 도시 생활로 인해 다양한 전염병에 노출되었고 이에 대한 면역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그렇지 못했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인들이 가져온 천연두, 홍역 등의 전염병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치명적이었다. 인구의 95%가 전염병으로 사망한 지역도 있었다. 이러한 질병은 유럽인들의 정복을 더욱 쉽게 만들었다.

반대로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전파된 치명적인 전염병은 거의 없었다. 이는 전염병의 불균형이 문명의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7 사진 복사와 아이디어 전파

마지막 주제는 청사진 복사와 아이디어 전파이다. 문자의 발명과 확산은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라시아에서는 문자가 발명된 후 다른 지역으로 청사진 복사를 통해 전파되었다. 즉, 기존 문자를 기반으로 새로운 문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아이디어 전파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한글은 기존의 문자 체계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명되었다. 체로키족의 세콰이어도 문자의 존재를 알고 독자적인 문자를 개발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문자의 발명이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창의성과 사회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문명의 발전이 단순히 기술의 전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과 문화적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총, 균, 쇠'의 핵심 내용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해 보았다.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이 책을 통해 인류 문명의 불평등한 발전을 지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인류의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꼭 보길 바란다.

반응형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눈에 보는 서양사  (9) 2024.11.16
사피엔스  (8) 2024.11.16
교양  (5) 2024.11.16